반응형
서울여행코스 추천 < 한양도성순성길 >입니다. 

서울한양도성 [사적 제10호]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입니다. 현존하는 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랫동안(1396~1910, 514년) 도성의 기능을 수행했습니다. 


한양도성순성길의 의미 뜻



조상들은 성곽을 따라 산책을 즐기기도 했는데 이를보고 순성이라고 불렀습니다. 



1904년 서울 한양도성의 모습입니다. 





한양도성 스탬프투어

도성 길을 따라 걸으면 내사산의 숲길과 도심, 주택가 골목길 등 다양한 서울의 모습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잠시 쉬어가는 곳에는 구간 완주를 인정하는 스템프 찍는 곳이 있습니다. 4개 지점의 스탬프를 모두 받으면 완주기념 배지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용방법
1. 스탬프 운영장소(4개 지점)에서 도성 지도를 받아서 투어를 시작합니다.
2. 한양도성을 걸으며 운영장소에서 스탬프를 찍습니다.
3. 한양도성을 완주하고 4개 스탬프를 모두 받으시면 운영장소에서 완주배지를 받습니다.

  • 1지점    말바위 안내소    한국문화재보호재단    (02)765-0297
  • 2지점    흥인지문 관리소    종로구청 문화과    (02)2148-4166
  • 3지점    강북삼성병원 정문 보안실    종로구청 관광체육과    (02)2001-1112
  • 4지점    숭례문초소 우측 5m 지점    중구청 문화관광과    (02)3396-4623



한양도성순성길 구간안내



한양도성은 자연의 선을 손상시키지 않고 지형을 그대로 따라가며 산등성이를 빙 둘러쌓은 요새입니다. 한양도성 순성길은 총길이 18.6km로 4개의 코스로 나누어 즐길 수 있습니다.

  • 인왕산구간 : 첫 시작은 조선한양의 남쪽문이자 정문인 국보 1호 숭례문에서 시작합니다. 정동길을 따라 돈의문터부터 윤동주 시인의 언떡까지 이어지는 구간입니다. 가다보면 선바위도 나옵니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


  • 백악구간 : 백악산으로 이어지는 성곽행렬은 짙은 녹음사이 들어갑니다. 가는길 창의문은 서울한양도성의 사소문 중 유일하게 조선시대 문루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 백악구간(창의문~말바위안내소)는 출입제한 지역으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백악구간 1일 2회 해설사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3월~10월:오전 10시, 오후 2시, 11월:오전 10시30분, 오후 2시) 현장에서 출입증을 발급받으면서 안내소에 문의하면 됩니다.(오전 10시 이전, 오후 2시 이전에 신청해야 하며 월요일은 출입이 제한된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


  • 낙산구간 : 혜화문에서 흥인지문까지의 구간으로 마을과도 연결이 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


  • 남산구간 : 장충체융관에서 백범광장까지 구간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


※ 현재 전체 구간의 70%, 총 12.8km(2014년 기준) 구간이 남아있거나 중건되었는데 숙정문 · 광희문 · 혜화문을 중건하였지만 광희문과 혜화문은 부득이하게 원래 자리가 아닌 곳에 세워지게 되었습니다.



한양도성은 산성과 평지성을 함께 쌓는 고구려 이래의 축성 체계와 기법을 계승 발전시킨 성입니다. 한양도성은 궁궐을 둘러싼 궁성, 도성을 보호하는 북한산성 · 남한산성과 함께 합니다.

한양도성 성문

  • 사대문 : 유교에서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네 가지 마음가짐을 나타내는 사단(四端)의 인의예지(仁義禮智)를 동서남북에 각각 대응시켜 동대문을 흥인문(興仁門), 서대문을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을 숭례문(崇禮門), 북대문을 숙정문(肅靖門)이라 이름을 붙였습니다. 
  • 소의문 :  숭례문과 돈의문 사이 서남에 소의문(昭義門), 서북에 창의문(彰義門), 동북에 혜화문(惠化門), 동남에 광희문(光熙門)을 두었다.

한양도성은 처음 축조된 뒤에도 여러 차례 보수, 개축되었는데 성벽에는 이러한 개보수의 역사가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군데군데 성돌에 새겨진 글자들과 시기별로 다른 돌의 모양을 통해 축성 시기와 축성 기술의 발달 과정을 알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


한양도성 성벽


태조 때의 도성 축조(1396)


1396년 1월과 8월, 두 차례 공사를 통해 축성을 마무리하였다. 산지는 석성, 평지는 토성으로 쌓았다. 성돌은 자연석을 거칠게 다듬어 사용하였다.


세종 때의 도성축조(1422)


1422년 1월, 도성을 재정비하였다. 이때에 평지의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 쌓았다. 성돌은 옥수수알 모양으로 다듬어 사용하였다.

숙종 때의 도성 축조(1704~)


무너진 구간을 여러 차례에 걸쳐 새로 쌓았다. 성돌 크기를 가로·세로 40~45cm 내외의 방형으로 규격화하였다. 이로써 성벽은 이전보다 더 견고해졌다.

순조 때의 도성 축조(1800~)


가로·세로 60cm 가량의 정방형 돌을 정교하게 다듬어 쌓아올렸다. 각자성석은 여장에 있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



반응형


+ Recent posts